나는 용이 맞을까?

    [정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뭘까? (+ 서울시 지하철(공공) 데이터)

    조금 있으면 아이디어톤이라는 것에 참여하게 되는데, 주제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법을 활용한 도시의 탄소 문제 해결 아이디어' 이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뭐지? 한글 위키피디아의 설명.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나올 법한 말 아니랄까봐, 클라우드 서비스와 구독 경제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단어의 직접적 의미와는 조금 다른 느낌. 레드햇의 설명.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면, 나름대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설명을 한다. S.W 기업 답게 S.W와 관련지어 이야기 하며, 리눅스 솔루션 기업 아니랄까봐 오픈소스에 대한 찬양과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이유로 마무리한다. 영문 위키피디아의 설명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또는 수동적인 시스템들을 디지털화 시키는 것이라고 한다. 레딧에는 위키피디아의 설명과 같은 ..

    [파이썬] 매우매우 기본적인 제품 관리 프로그램(+ pandas 라이브러리)

    안녕. 나다. 오늘은 지인의 부탁으로 오랜만에 파이썬 코딩을 진행해보았다. 목표했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1. 제품명, 제품수량, 제품생산일을 입력 받아서 2. 메모리에 저장하고 3. 이 데이터들을 출력 및 검색하는 프로그램이다. 입 벌려 코드 들어간다! 1. 매우 기초적인 코드 #!python menu = "1. 입력 \n2. 출력 \n3. 검색 \n4. 종료" # 메인메뉴 문장을 menu 변수에 저장 info = [] # 정보가 담길 list 선언 while True : # 무한반복 print(menu) # 메인메뉴 문장 출력 number = input ("메뉴를 선택하세요.:") # number 변수에 데이터 입력 if number == '1' : # 메인메뉴에서 누른 번호가 1 일 경우 cont..

    [전자·전기] 직렬과 병렬에서의 LED(전구) 밝기 차이

    이게 내가 궁금했던 그거다. 직렬과 병렬에서 왜 전구의 밝기 차이가 나는가. 또, 얼마나 나는가? LED의 밝기는 전력에 따라 달라진다. 전력이란 무엇인가? 전력은 '단위 시간 당 전류가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말한다. 단위로는 와트를 사용하고, W로 사용한다. (출처 : 위키피디아) 계산은 전류와 전압의 곱으로 이뤄진다. 이다. 일의 양이라는 것은 '에너지'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소모 전력이란, 시간 당 에너지를 얼마나 소모하는가와 같다. LED의 밝기가 전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정확히 비례하지는 않는다. 손실 등 여러 이유가 있기 때문. 직렬에서의 전력 지난 번에 포스팅한 '옴의 법칙'에 따라 동일한 LED가 직렬로 2개 연결되었을 때, 전류와 전압을 계산하였다. 이때 각 LED에..

    [아두이노 공부] 6. 적외선(IR) 센서 사용해보기 - 적외선 송수신 확인

    적외선(IR) 센서의 용도 오늘 장난감은 적외선(IR) 센서다. 다들 알겠지만, 리모컨과 체온계에 자주 쓰이는 그 센서다. 적외선을 이용하려면, 송신기와 수신기가 둘 다 필요하다. 주기만 하거나, 받기만 하면 예의가 아닌 것처럼 적외선도 줬으면 받는 것도 있어야 한다. 주고나서 돌아오는지 (장애물이 있는가?) 주고나서 몇 시간 뒤에 돌아오는지 (거리는 어느정도인가?) 어떻게 주는지 (어떤 리모컨 버튼을 눌렀는가?) 등등의 경우로 사용할 수 있다. 괜히 돈 빌려주는 경우가 생각나는데, 넘어가자. IR센서 연결하는 법 내가 쓰는 적외선 센서에는 3가지 핀이 있다. 각각 PWM(데이터), VCC(전원), GND(접지) 이다. 순서대로 디지털핀, 5V (센서마다 다를 수 있음), GND에 연결시켜주면 된다. 송..